본문 바로가기

Python

[Python/파이썬] 문자열 | 슬라이싱, 문자열처리함수, 문자열포맷, 탈출문자

반응형

 

 

토글

 

 

 

 1. 슬라이싱(Slicing)

 슬라이싱은 문자열에서 특정 부분만 잘라내어 사용하는 기법이다. (주민등록번호 예시)

jumin = "000516-1234567"

print("성별 : " + jumin[7])
print("연 : " + jumin[0:2]) # 0 ~ 2 '직전'까지
print("월 : " + jumin[2:4])
print("일 : " + jumin[4:6])

print("생년월일 : " + jumin[0:6])
print("주민번호 뒷자리 : " + jumin[7:])
print("주민번호 뒷자리 뒤에서부터 : "+ jumin[-7:])

 

 


 

2. 문자열 처리 기법

1) lower()와 upper()

 문자열을 소문자로 변환할 때는 lower() 함수를 사용하고, 문자열을 대문자로 변환할 때는 upper() 함수를 사용한다.

python = "Python is Amazing"

print(python.lower())  # 소문자
print(python.upper())  # 대문자

 

 

2) isupper()

 문자열의 첫 글자가 대문자인지 확인할 때는 isupper() 함수를 사용한다.

print(python[0].isupper())  # 문자열 맨앞이 대문자니? true

 

 

3) len()

 문자열의 전체 길이를 구할 때는 len() 함수를 사용한다.

print(len(python))  # 문자열 전체 길이

 

 

4) replace()

 문자열 안에 있는 특정 문자열을 다른 문자열로 바꾸고 싶을 때는 replace() 함수를 사용한다.

print(python.replace("Python", "javascript"))  # 문자 Python을 javascript로 바꿔줌.
반응형

5) index()와 find()

 문자열에서 특정 문자의 위치를 찾고 싶을 때는 index() 함수나 find() 함수를 사용한다. index() 함수는 값이 없으면 에러를 출력하고, find() 함수는 값이 없으면 -1을 출력한다. 

index = python.index("n")  # "n" 이 몇 번째에 있냐
print(index)
index = python.index("n", index + 1)  # 두 번째 "n"은 몇 번째 있냐
print(index)

print(python.find("n"))  # "n"의 위치를 모두 찾기 떄문에 5,15
print(index)

print(python.find("java"))  # 찾을 수 없으면 -1을 출력

 

 

6) count()

 문자열에서 특정 문자가 몇 번 나타나는지 세고 싶을 때는 count() 함수를 사용한다. 

print(python.count("n")) # "n"이 총몇번 찍히냐

 

 


 

3. 문자열 출력 방법

방법 1: % 사용

print("나는 %d살입니다." % 20)
print("나는 %s을 좋아해요." % "파이썬")
print("나는 %s색과 %s색을 좋아해요." % ("빨간", "파란"))

 

방법 2: format 사용

print("나는 {}살 입니다." .format(24))
print("나는 {}색과 {}색을 좋아해요." .format("빨간", "파란"))
print("나는 {1}색과 {0}색을 좋아해요." .format("빨간", "파란"))

 

방법 3: 변수 사용

print("나는 {age}살이고 {color}색을 좋아해요." .format(age=24, color="빨간"))

 

방법 4: f-string 사용

age = 24
color = "빨간"
print(f"나는 {age}살이고 {color}색을 좋아해요.")

 

 

 

 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