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9. 분석기획발굴 중 거시적인 관점이 아닌 것은?
채널
10. 프로젝트 범위설정을 하기위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관계자들의 이해를 일치시키고 구조화된 프로젝트 범위를 정하는 것은?
SOW
11. 데이터 표준화의 설명 중 적절한 것은?
데이터 표준 용어 설정, 명명규칙 수립, 메타 데이터 구축, 데이터 사전 구축 등의 업무로 구성
12. ROI 관점에서 return에 해당하는 것은?
Value
13. 전사차원의 모든 데이터에 대해 정책 및 지침, 표준화, 운영조직 및 책임등의 표준화된 관리 체계를 수립하고 운영을 위한 프레임워크 및 저장소를 구축하는 것은?
데이터 거버넌스
14. 데이터 분석 방법절차로 알맞은 것은?
분석기획 - 데이터 준비 - 데이터 분석 - 시스템 구현 - 평가 및 전개
15. 데이터 분석 기회 선별 방식 중 틀린 것은?
특정 주제별로 분석 기회 선택
16. 분석 수준 진단의 대상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?
분석성과조사
단답형3.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방해하는 요소로써 문제의 표현 방식에 따라 동일한 사건이나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개인의 판단이나 선택이 달라질 수 있는 현상은?
프레이밍 효과
단답형4. 분석 수준 진단 방법 중 조직의 분석 및 활용을 위한 역량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도입 단계> ( )> 확산 단계> 최적화 단계의 분석 성숙도 단계 포지셔닝을 파악하게 된다. 빈칸에 알맞은 용어는?
활용 단계
⬇️ 간호사출신 개발자와의 커피챗을 원하신다면? ⬇️
커피챗 신청서 ☕️
네이버 폼 설문에 바로 참여해 보세요.
form.naver.com
'it자격증 준비 > ADs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➜ [ADsP/33회] 2과목 데이터 분석 기획 기출문제 복원 (0) | 2023.08.05 |
---|---|
➜ [ADsP/33회] 1과목 데이터 이해 기출문제 복원 (0) | 2023.08.05 |
➜ [ADsP/32회] 3과목 데이터 분석 기출문제 복원 -2 (0) | 2023.08.04 |
➜ [ADsP/32회] 3과목 데이터 분석 기출문제 복원 -1 (0) | 2023.07.22 |
➜ [ADsP/32회] 1과목 데이터 이해 기출문제 복원 (0) | 2023.07.20 |